Young In Hong: Flowers, Desire, Transgression and Jokes

Hyewon Lee
2008

Young In Hong delivered stolen flowerpots to a police station, raised a huge balloon above downtown Seoul, which is illegal, and puts up random posters along streets, avoiding the police’s watch. In her installation projects, which unfold in urban spaces, policemen guided viewers as docents in an exhibition space, and an art museum turned into a site for unlawful activities. Moreover, people who attended a Sunday mass listen to a “sermon” of prisoners, prostitutes, and the homeless in the very same place which displays holy embroideries and icon paintings.

Hong’s subversive imagination reveals a complex structure in which human desire is entangled with beauty, embodied in flower bouquets, flowers planted in pots, flowers embroidered with gold and silver threads, computer-generated flowers, and colorful curtains. However, many artists abandoned such an idea of beauty long ago, and beauty is not often brought up in discourses on contemporary art. Immanuel Kant, the follower of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in which beauty and desire had been regarded as separate realms, stressed that we should exclude desire when it come to aesthetic judgments, by defining that “beautiful is what, without a concept, is liked universally.” isn’t Kant’s definition based on the premise that desire is not detachable from beauty? Today’s art, filled with more discourses on desire than beauty, focuses on desire in its own territory and on how to represent it from social standpoints, rather than on dialectical relations between beauty and desire. Yet, in her search for human desire, Hong sticks to the beautiful, which has become an outcast of contemporary art.

For Open Theatre, a public art project that she curated in 2004, Hong created spaces where beauty met with the desire for possession and deviation. Working on I Will Commit Crimes Forever, and One More Day, one of two projects included in this show which lasted for about a month, Hong walk around streets to steal flowerpots. Decorating a police station in downtown Seoul with stolen flowerpots, she asked the police to kindly show them to the visitors. As a result, she turned this law-observance place into an illegal-behavior-happening place and, at the same time, a place for art. The artist was once asked why she stole those flowers, and she simply answered that she “stole them because they were pretty,” noting that flowers symbolize objects of desire in her art.

Hong’s work seems to say that her intention is not more than what her pieces show by all surfaces and that she denies seriousness. Experimenting with the danger of desire through an undeniable lure of beauty, Hong sets an unavoidable trap, a joke, to remove viewers’ resistance to deviation and in turn facilitate communication with them. Hong’s viewers unconsciously encounter their own desire, smiling at the artist’s subversive acts. This respect of her work is easily associated with Milan Kundera’s writings. This association is possible not because keywords in her work, such as “curtains” and “jokes,” are titles of Kundera’s books and she entitled one of her works Kunderaish Statement of Lightness (2004). Instead, both Hong and Kundera explore human desires and continue to turn serious stories about lightness or light stories about seriousness into a joke that is, to borrow Kundera’s definition, the “best evidence that a sharp sense of the real and an imagination that ventures into the implausible can make a perfect pairing.”

In 2008, Hong worked on a project called Anonymous Show in London, having left Seoul by the time she secured her position in the Korean art world. To prepare the project which consisted of two different projects, entitled Words and Unidentified Images, the artist talked with people who live anonymously in the city. Later, she hung, in an Anglican church, a gold framed canvas onto which she embroidered what those Londoners said to her. Furthermore, in many places along London streets, she attached posters which displayed images of flowers taken from Plants and Insects by a Korean female painter Shin Saimdang and taken from a book of illustrations set in 18th century Europe. On these posters, it is hard to recognize any traces of original paintings.

Anonymous flowers leave their creators through “simple process of pasting and taking off” of Hong’s posters, and words without speakers become unfamiliar gospels, and belong to people whom the original speakers do not know. This procedure of her work exposes and simultaneously erases relations among those whom she doesn’t know and those who do not know one another. Her artistic vision constantly reflects herself on the Other and the Other on herself, and turns into another subversive symbol of Hong, wandering around the space of Diaspora, and finally retires from the art market that is ruled by capitalistic power and logic.

The artist’s work “honest with situations” and “truly depending on intuition in most cases” presents dialectic relations between beauty and desire with perfect logic. This must be why Hong clearly understands the irony that the depth of our thoughts grows with unbearable lightness of desires which constantly challenges our reason. Hong notes, “I am interested in what put me ceaselessly in danger.” This observation proves that she daringly confronts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possessing desire who continue to live, walking on a risky tightrope between the normal and the abnormal, the right and the wrong, the moral and immoral, and the legal and the illegal. Such human existence occurs frequently in the moments that we must choose to which side a tossed coin, having both sides of reason and desire, will tilt at the point when it forms the right angle with the floor.

Hong sticks to create the beautiful and does not deny the heaviness of the tradition portrayed in canvases and golden frames, and at the same time, she does not sacrifice physicality of artworks for conceptual elements. Her works, nevertheless, are not outmoded because she indefatigably questions the nature of art and of human beings, challenging the modernist myth that has been evolved around the autonomy of art.

Public/Art Seoul: An On-line Public Art Project
Exhibition Catalogue and HYPERLINK “http://www.artpublicart.org” www.artpublicart.org
2008

  • Immanuel Kant, Critique of Judgment, trans. Werner S. Pluhar (New York: Hackett Publishing, 1987) p. 64.
  • Milan Kundera, The Curtain: An Essay in Seven Parts, trans. Linda Asher (New York: Harper Perennial, 2008) p. 75.
  • In this article, Young In Hong’s own expressions are based on the interviews done by the author on July 13th and 14th, 2008. They are indicated inside quotation marks without additional footnotes.

홍영인은 파출소로 훔친 화분들을 배달하거나 애드벌룬 설치가 허가되지 않는 서울의 도심에 벌룬을 띄우고, 경찰의 눈을 피해가며 거리에 정체불명의 포스터를 붙이고 다닌다. 도시공간에서 진행형의 사건으로 전개되는 이 작업들에서 경찰관은 전시장의 도슨트가 되어 관람객들을 안내하고, 미술관은 불법 행위를 방조하는 장소가 된다. 그리고 일요일에 성당에 간 사람들은 성화들이 걸려있었던 자리에서 죄수와 창녀 그리고 노숙자들의 ‘말씀’을 듣게 된다.

홍영인의 전복적인 상상력은 꽃다발, 화분에 담긴 꽃, 금사와 은사로 수놓은 꽃, 컴퓨터로 합성한 꽃, 꽃 색깔의 커튼, 그리고 기둥, 첨탑, 방진막 등으로 변신한 커튼의 화려한 후예들을 통해서 정교하게 구체화되면서 아름다움과 욕망이 맞물리는 복잡한 구조를 드러낸다. 양자를 별개의 영역으로 사유했던 서구의 오랜 철학적 전통 안에 있었던 독일의 철학자 칸트 (Immanuel Kant)가 아름다움은 “개념을 떠나서 보편적으로 만족감을 주는 것”이라고 정의하면서 미적인 판단에서 욕망의 배제를 강조했던 것은 실제로는 그것이 아름다움과 분리되기 힘든 것임을 전제하고 있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1] 아름다움보다는 욕망에 관한 담론들이 무성한 이 시대의 예술은 양자의 변증법적인 관계보다는 독립된 영역으로서의 욕망과 그것의 사회적인 재현의 방식에 주목한다. 그러나 홍영인은 현대미술의 변방으로 물러나 있는 아름다움이라는 ‘낡은’ 주제를 욕망에 대한 자신의 탐구 속으로 다시 불러들인다.   

작가가 직접 기획한 첫 번째 전시인 《하늘 공연장 Open Theatre, 2004》을 구성한 두 개의 프로젝트 중 하나인 <나는 영원히, 그리고 하루 더 죄를 짓겠습니다. I will Commit Crime Forever and a Day>라는 작업에서 홍영인은 꽃이라는 아름다움의 표상을 통해 인간의 욕망을 통제하는 시스템으로서의 공간에 개입한다. 이 작업이 진행된 약 한달 동안 그녀는 거리를 배회하며 꽃이 심어진 화분들을 훔쳤고, 그것들로 서울 도심의 한 파출소 앞을 장식하고, 경찰관들에게 자신의 장물을 보러 온 시민들을 친절하게 안내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준법의 공간을 불법의 공간이자 예술의 공간으로 전치시켰다. 그리고 왜 꽃을 훔쳤냐는 ‘심문’에 태연하게 “예쁘기 때문에 훔쳤다”며 자신의 작업에서 꽃이 욕망의 대상으로서의 아름다움을 상징하고 있음을 밝혔다.

꽃이라는 거부하기 힘든 미끼를 통해 제한된 궤도를 벗어나려는 (혹은 벗어나지 않으려는) 욕망을 실험하는 홍영인은 자신의 작업이 의도하는 것은 작품의 표면 위로 드러난 것들 이상이 아니라는 듯 무거움을 거부하며 조크를 던진다. 그리고 그녀의 관객들은 예술작품이라는 명목으로 면죄부를 받은 불법 벌룬이 순백의 옷자락을 휘날리며 서울의 하늘을 유영하고, 양쪽 옆에 들어선 늘씬한 이웃들 때문에 기가 죽은 우체국 건물이 빨간 모자를 쓰고 키를 높이고, 파출소가 훔친 화분들로 꽃단장을 한 것에 미소를 지으며 스스로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그녀의 일탈에서 자신들의 욕망을 마주하게 된다.

홍영인의 작업이 쉽게 밀란 쿤데라(Milan Kundera)를 연상시키는 것은 그녀의 작업에서 중요한 키워드가 되는 조크와 커튼이 쿤데라의 책 제목들이었고, 그녀가 금지된 벌룬을 띄우면서 <가벼움에 대한 성명 Statement of Lightness of Being>이라는 쿤데라스러운 제목을 붙였기 때문만은 아니다. 오히려 두 작가가 공유하는 점은 그들의 작품이 인간의 욕망에 대한 사유에서 출발하고, “실제에 대한 예리한 감각”과 “모험적인 상상력이 완벽하게 짝을 이루는” 조크를 통해서 가벼움에 대한 진지한 이야기 혹은 무거움에 대한 가벼운 이야기를 계속하는 것이다.[2]  “많은 경우 아무 생각 없이 직관에 의존해서 진행”된다는 “상황에 정직한” 그녀의 작업이 치밀하게 내재된 논리로 아름다움과 욕망의 관계를 드러내는 것은 인간의 생각에 깊이를 부여하는 것이 결국은 욕망이라는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이라는 아이러니에 대한 작가의 투명한 인식 때문일 것이다.[3] 그리고 그녀가 “지속적으로 나를 위험에 던지는 것에 관심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이성과 욕망이라는 양면을 가진 동전이 튕겨 올라갔다가 떨어지며 순간적으로 바닥과 수직을 이루는 찰나에 그것이 어느 쪽으로 기울지를 선택해야 하는 긴장감 속에서 정상과 비정상, 옳음과 그름, 도덕과 부도덕 그리고 합법과 불법의 경계에서 불안한 줄타기를 계속하며 살아야 하는 욕망을 가진 인간의 실존을 직시하려는 의지로 해석된다.

한국 미술계에서 어느 정도 자신의 자리가 분명해지던 시기에 영국행을 선택한 홍영인이 런던에서 했던 설치작업인 《익명의 전시 Anonymous Show, 2008》는 그녀가 전통과 체제의 무게에 짓눌리면서도 자본과 문화의 첨단이라는 강박증에 시달리는 도시에서 아시아 여성 작가라는 이중 또는 삼중의 소수자로 살아가기를 자청한 이유를 짐작하게 한다. <말>과 <이미지>라는 두 개의 프로젝트로 구성된 이 전시를 위해 작가는 런던에서 익명의 존재로 살아가는 소위 “하층민으로 분류되는 사람들”에게 말을 걸고, 그들의 말을 수놓은 캔버스를 금박의 액자에 담아서 런던 남부의 한 성공회 성당에 걸었다. 그리고 신사임당의 <조충도>와 18세기 유럽 일러스트 회화에서 따온 꽃들을 합성하여 원작의 기원을 알아보기 힘들게 만든 꽃들이 인쇄된 포스터를 한정판으로 제작하여 런던의 거리 곳곳에 붙였다. 작가를 지운 익명의 꽃들은 “붙이고 떼는 단순한 행위”를 통해서 홍영인의 것에서 그녀가 알지 못하는 “그들”의 것이 되고, 화자를 지운 말들은 낯선 복음이 되어 말의 주인들이 알지 못하는 그들의 것이 된다. 그녀가 모르는 그들과 그들이 모르는 그녀 그리고 서로를 알지 못하는 그들의 보이지 않는 관계를 드러내는 동시에 지우는 이 작업은 끊임없이 자신을 타자화하고 타자를 자신의 모습으로 반추하며 디아스포라의 공간을 부유하는 홍영인의 또 다른 일탈의 표상이 되어 자본의 힘과 논리가 극단적으로 드러나는 미술시장이라는 시스템에서 벗어나게 된다. 아름답기를 고집하고, 캔버스와 금박액자에 실린 전통의 무게를 거부하지 않으며, 개념을 위해 이미지와 오브제를 희생시키지도 않는 그녀의 작업이 진부하지 않은 것은 지루한 구호를 내세우지 않으면서도 인간의 욕망과 예술의 가치를 규정짓는 시스템에 도전하고, ‘저자’로서의 작가의 존재에 대한 복잡한 이야기로 환원되는 현대미술의 자율성의 신화에 집착하기 보다는 끊임없이 인간과 예술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으로 회귀하기 때문이다.


[1] Immanuel Kant, Critique of Judgment, trans. Werner S. Pluhar (New York: Hackett Publishing, 1987) p. 64.

[2] Milan Kundera, The Curtain: An Essay in Seven Parts, trans. Linda Asher (New York: Harper Perennial, 2008) p. 75.

[3] 이 글에 인용된 홍영인의 말은 2008년 7월 13일에서 14일에 걸친 그녀와의 대화에 근거한 것이다. 작가의 말은 별도의 주석을 달지 않고 인용부호로만 표시했다.